장영실선생의 연대기 > 장영실선생 업적

본문 바로가기

장영실선생의 연대기


ec4a5b3e41ec003aeaa8a93255a28dbe_1635072408_8116.jpg

년도

발명품

1390

◆부산 동래에서 출생
◆신분은
동래현의 관노였다

1421

◆(세종 3) 중국으로 파견, 각종 천문관측기기를 익히고 돌아옴 인재를 중시했던 세종의 명으로 중국 유학의 기회를 갖게 됐다.

1423

◆(세종 5) 어명으로 정5품인 상의원별좌로 임명
◆중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 후 왕의 특명으로 관노의 신분을 벗음
.

◆본격적으로 궁중기술자로서의 활동이 시작됐다.
원래 상의원은 궁중의 의복과 금은보화를 관리하는 관청이다그러나 실제로 장영실이 맡은 일은 물시계 제작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1424

◆(세종 6) 등용 1년 만에 물시계 완성!
≪세종실록≫에는 중국의 것을 참고하여 청동으로 경점의 기를 부어서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공로로 정5품의 행사직으로 승진한다

1432

◆(세종 14) 하늘을 관측하는 천문관측기구인 간의 완성!
장영실이 처음 만들었던 과학기구이자 천문관측기구는 간의다.

1433

(세종 15) 간의를 더욱 발전시킨 혼천의를 완성!
◆ 이후 천문관측기구와 자동물시계를 연구하기 위해 명나라 유학길 오른다.

1434

(세종 16) 자격루, 앙부일구, 갑인자 제작
◆자동물시계인 보루각의 자격루를 완성하고
, 해시계인 앙부일구 제작!
◆ 갑인자는 동활자인 경자자의 결함을 보완한금속활자인데, 장영실은 어명을 받고 갑인자의 주조를 감독했다.
(세종 16) 경상도 채감별감 발탁, 철과 구리의 채광 제련을 감독했다.

1437

 (세종 19) 휴대용해시계인 현주일구, 천평일구정남일구, 일성정시의, 규표 등을 완성한다.

1438

 (세종 20) 흠경각(옥루) 완성. 대호군(3)으로 승진한다

1441

 (세종 23) 세계 최초의 우량기인 측우기를 발명한다.
 ◆이와 함께 하천 수위를 재는 수표 발명. 그 공으로 상호군으로 승진

1442

 (세종 24) 316일 장영실이 직접 제작한 안여(수레) 파손 사건이 발생.
 ◆그 해 53일 불경죄로 곤장 80대를 맞고 파직되며, 그 후 기록은 남아있지 않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단법인 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 / 대표 : 제재형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12, 701호(신문로1가, 신문로빌딩) / 서울 중구 을지로 157(대림빌딩 665호)
고유번호 : 101-82-09687 / 전화 : 02-2275-9981 / 팩스 : 02-2275-9982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규석

Copyright © 사단법인 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