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남일구 (1437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1-10-26 22:58 조회 179 댓글 0본문
지남침(나침반) 없이 남쪽을 맞히는 해시계
- 보물 제845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정남일구는 다른 해시계와 달리 지남침을 쓰지 않고도 남북의 방향을
정확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남쪽을 가리켜주는 해시계라는 뜻으로 ‘정남일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받침대의 길이는 1척 2촌 5분이며, 받침대에는 수평을 잡기 위한 물그릇이 장치되어 있다.
남북으로는 기둥이 세워져 그 사이에 눈금을 그려 넣은 사유환(四遊環)·지평환(地平環) 등이 가설되었고, 눈으로 들여다볼 수 있도록 규형(窺衡)이 장치되었다. 크기로 보아 휴대용은 아니었고, 중국에서 이와 비슷한 해시계를 만들었다는 증거는 보이지 않는다. 해시계 가운데 가장 정밀한 종류의 것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